Write it/Java

Java) 변수와 타입_02

develop_mii 2025. 7. 21. 13:54

● 기본 타입

 

1. 정수 타입

byte 1byte 8bit -128 ~ 127
short 2byte 16bit -32.768 ~ 32.767
char 2byte 16bit 0 ~ 65535(유니코드)
int 4byte 32bit -2.147.483.648 ~ 2.147.483.647
long 8byte 64bit -9.223.372.036.854.775.808 ~  9.223.372.036.854.775.807

 

* 리터럴 :  소스 코드에서 프로그래머에 의해 직접 입력된 값 

                자바가  정수로 인식하는 경우 ->  2진수, 8진수, 10진수, 16진수

 

1) char타입

 하나의 문자 작은따옴표(')로 감싼 문자 리터럴 → 유니코드로 변환되어 저장  

 유니코드(세계 각국 문자를 2byte로 표현할 수 있는 숫자, 0~65535) -> 유니코드는 정수이므로 char도 정수타입에 속함

char var1 = 'A' ;    //유니코드 65
char var1 = 'B' ;    //유니코드 66
char var1 = '가' ;   //유니코드 44032
char var1 = '각' ;   //유니코드 44033

 

 

*문자리터럴을 int타입에 저장 할 경우 -> int는 해당 유니코드 자체가 출력

char var1 = 'A';
int var2 = 'A';
System.out.println(var1);   // A출력
System.out.println(var2);   // 65출력

 

 

2) String 타입

 - 큰따옴표(")로 감싼 문자들(문자열)을 저장할때 사용하는 타입 

char var1 = 'A'; 
String  var1 = "바나나" ;

 

- 이스케이프 문자  문자열 내부에 역슬래시(\) 붙여서 문자열 내부에 특정 문자를 포함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String str = "나는 \"자바\"를 좋아합니다.";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System.out.println(str);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→ 나는 "자바"를 좋아합니다.
  한 줄 내림(\n)가능
  탭만큼 띄우기(\t)

 

 

  

2. 실수 타입

- 자바는 기본적으로 double 타입으로 해석

- float타입으로 저장하고 싶다면 리터럴뒤에 t,F 붙여준다

float 4byte 32bit (소수점 이하) 7자리 
double 8byte 64bit (소수점 이하) 15자리 

 *doutble타입이 float보다 정밀도 2배정도 높다

 

 

 

3.논리 타입

- 논리 리터럴로 true , false 사용

- 논리 리터럴은 boolean 타입에 변수 저장 

public stata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
 boolean stop = true ; 
 if(stop) {
  System.out.println("중지합니다.");
  } else {
  System.out.println("시작합니다.");
  }
 }

stop코드가 true값 -> if 블록실행 -> "중지합니다." 출력

  만약, stop코드가 false -> else블록실행 -> "시작합니다." 출력

'Write it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ava) Scanner  (3) 2025.08.06
Java) 변수와 타입_03  (4) 2025.07.30
Java) 변수와 타입_01  (0) 2025.07.21